티스토리 뷰

목차



    Z세대는 소비뿐 아니라 창업 방식에서도 기존 세대와는 확연히 다른 특성을 보입니다. 이들은 브랜드보다 가치,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조직보다 1인 시스템을 선호하며 빠르게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상의 Z세대 창업자 민지(25세, 여성)의 인터뷰 형식을 통해, Z세대가 실제로 선호하는 창업 트렌드와 마케팅 방식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오늘을 멋지게 만들기 위한 행복과 긍정의 메시지

    출처: Pexels (Alexas Fotos)

    브랜드보다 가치, 돈보다 자율성 - 민지의 창업 이야기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A.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서 활동 중인 퍼스널 브랜딩 굿즈 크리에이터 김민지라고 합니다. 올해로 25살이고, 대학교 졸업 후 취업 대신 창업을 선택했어요. 제가 직접 디자인한 이모티콘, 다이어리, 스티커 등을 SNS를 통해 판매하고 있어요.

    Q. 창업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솔직히 말하면, 회사 다니는 삶이 저랑 맞을지 확신이 없었어요. 월급도 중요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걸 하면서 살고 싶다는 마음이 컸죠. 그리고 요즘은 SNS 하나만 잘 키워도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 제품도 판매할 수 있는 환경이잖아요. 그래서 이건 해볼 만하다 싶었어요.

    Q. 처음에 어떤 방식으로 시작하셨나요?
    A. 인스타그램과 스마트스토어를 동시에 열었어요. 제품 제작은 소량으로 시작해서 쿠팡 파트너스나 블로그에 연계 콘텐츠도 올리고요. 수익은 처음에는 작았지만, 저만의 감성이나 메시지를 좋아해 주시는 분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자존감도 높아졌어요.


    연결

    출처: Pexels (Diva Plavalaguna)

    Z세대는 팔지 않고 연결한다 - 마케팅 방식의 변화

    Z세대 창업자 민지는 마케팅 전략도 다릅니다. 전통적인 광고성 문구보다는, 팔지 않고 연결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그녀의 인스타그램은 제품 사진보다, 오늘의 영감, 나만의 루틴, 브랜드 스토리를 나누는 콘텐츠가 더 많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말합니다. Z세대는 상품 하나만 보고 사지 않아요. 누가, 왜 만들었는지가 더 중요하죠. 그래서 저는 매주 한 번씩 디자인 비하인드를 글로 써요. 소비자랑 친구처럼 소통하고 싶어요. 이런 방식은 가치소비, 감성소비를 중시하는 Z세대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단순한 판매보다 공감, 브랜드 철학을 강조한 마케팅이 오히려 매출을 견인합니다. 민지의 굿즈는 아직 대형 유통에 입점하지 않았지만, 온라인 팬층을 기반으로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또한 그녀는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 릴스를 활용해 일상을 콘텐츠화하고 있습니다. Z세대는 사생활과 창업 사이의 경계를 흐리며, 자신이 곧 브랜드인 세대입니다.


    빠른실행

    출처: Pexels (Monstera Production)

    완벽한 시스템보다 빠른 실행 - 창업 구조와 도구 활용

    Z세대 창업의 또 다른 특징은 완벽한 준비보다 빠른 실행입니다. 민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쇼핑몰을 만들 생각은 없었어요. 구글 폼으로 주문받고, PDF 파일로 콘텐츠도 팔아보고, 문제 생기면 바로 수정했죠. Z세대는 최신 IT 도구를 적극 활용해 복잡한 시스템 없이 빠르게 사업을 실행합니다. 민지는 Canva로 디자인을 만들고, Notion으로 고객 응대 매뉴얼을 공유하며, 스마트스토어는 네이버 톡톡 자동응답 시스템을 연동해 운영 시간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유연하게 이어갈 수 있는 시스템을 더 중시합니다. 이는 Z세대가 단순한 돈벌이를 넘어, 지속 가능한 나만의 브랜드를 만들고자 하는 방향성과도 연결됩니다.


    Z세대 창업자들은 빠르고, 유연하며, 공감 기반의 브랜딩에 강점을 보입니다. 전통적인 자본 중심 창업이 아닌, SNS를 중심으로 한 1인 브랜드, 가치소비 기반의 콘텐츠형 비즈니스 모델을 지향하죠. 앞으로 창업 시장은 이들 Z세대를 중심으로 더욱 빠르게 변화할 것입니다. 기존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시장을 설계하는 이들의 감각에서 미래 창업 전략의 힌트를 얻어보세요.